display
... .특정 요소의 css 괄호 안에서
block과 inline의 요소의 성격을 바꾸거나 합칠 때 사용한다!
속성값으로는 3개(inline, block, inline-block)이 있다.
- inline: 인라인 속성 부여
- block: 블록 속성 부여
- inline-block: width, height 설정 가능해짐, 네비게이션 버튼 만들 때 많이 사용된다.
float
... .특정 요소의 css 괄호 안에서
선택된 요소를 왼쪽 끝/오른쪽 끝에서부터 정렬시킨다.
말 그대로 선택자를 띄워서 레이어층을 만드는 것.
특징:
1) float를 사용한 부모의 영향을 받아서 왼쪽/오른쪽 끝이 결정된다
=감싸고 있는 부모의 크기 안에서만 왔다갔다한다.
=(float를 사용한)자식들보다 부모의 위드값이 더 작으면 레이아웃이 틀어진다.
=부모 크기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2)연속해서 쓰면 쌓인다. (왼쪽/오른쪽에서부터 차곡차곡)
(짝꿍: clear)
레이아웃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 - float를 다시 따라서 해보자!
clear
float를 사용하면 그 다음에 오는 애들은 띄워진 레이어층 아래에 배치가 된다 (=겹친다.)
그러니까 이 float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태그 바로 다음 태그에 clear를 넣어서 꺼야 함.
보통 clear의 속성은 both값만 사용한다.
(짝꿍: float)
브라우저와 공간 사이의 공백 제거하기 (세팅값!)
<style>
html, body{ margin:0; padding:0 } /* 아니면 아래 */
* { margin:0; padding:0;}
</style>
html과 body태그도 기본적으로 margin과 padding 값을 가지므로 초기화를 해줘야 한다. (디폴트!)
[1] 선택하는 방법:
1) html body{
2) * * 의 뜻 : 모든 html 태그를 선택해서 적용 하겠다.
[2] 값의 뜻
margin: 0/10
padding:0/10
(상하좌우 모두 0/10 적용 하겠다.)
'공부기록 > HTML&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애니메이션 (0) | 2022.06.29 |
---|---|
[HTML] 박스 모델, Block, line, 마진 병합 현상 (0) | 2022.06.28 |
[CSS] 주요 속성 (0) | 2022.06.28 |
[HTML] Html 구조와 semantic 태그 (0) | 2022.06.28 |
[HTML] Basic Tags 기본 태그들 (0) | 2022.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