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Recording of development
입소와 동시에 주어진 프로젝트 입소 첫날 학습 자료로 공부한 것들을 토대로, 3인 1조로 3박 4일간 웹사이트 서비스를 개발하는 일이 주어졌다. 가자마자 개발 프로젝트를 한다는 것은 알았지만, 처음 보는 사람들과 한 팀이 되어 개발을 한다는 것은 막상 직접 닥치니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jinja2를 사용하라 등의 지시사항과 기존 학습 자료를 기반으로 하라는 점에서 flask를 사용하고, ajax를 사용한다 등의 최소한의 기술적 방향성은 있었으나, 팀원들의 역량을 일체 모르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 보는 사람들과 함께 의논하여 주제를 정하고, 하루만에 기획 발표를 준비하고, 약 2~3일만에 개발을 완료하려니 이게 가능한 일일까 하는 생각부터 들었지만 일을 시작하니 생각보다 괜찮았다. 갑작..
지나온 과거 10/10일부터 시작했는데 정신차리고 보니 10/13일이다. 3일동안 웹사이트 서비스를 하나 기획하고, 개발하고 최종 발표까지 하는 시간들이 정말 정신없이 지나갔다. 그 속도는 부트캠프를 하나 마무리하고 취업 준비를 하던 n개월동안 지나간 시간의 속도만큼이나. 그러나 밀도는 큰 차이가 났다. 취업 준비를 한다고 개발하던 것보다 속도는 훨씬 더 빨랐고, 공부의 질은 더욱 뛰어났다. 나 혼자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팀원이 함께 고민하고 함께 해답을 찾아나가는 것이 꽤 즐거웠다. 게다가 나는 오프라인으로만 사람을 만나 공부하였는데, 직접 바로 옆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의 열정을 피부로 느낄 수 있어서 많은 생각을 했다. 그간 나는 공부를 한다고 했지만 얕게 했구나. 개발 이야기를 면대면과 육성으로 나누..
중첩 함수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 내에서만 호출이 가능하다.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의 스코프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 중첩함수를 포함하는 함수에서 선언한 지역변수에 중첩점수가 접근이 가능하다. 함수 내에서 직접 선언하여 호출 가능 및 함수의 매개변수로 함수 인자를 전달받아 함수 내에서 호출해서 사용 가능 매개변수에 전달된 함수를 실행하여 반환된 값을 return문을 통해 반환 람다식/람다 함수 중첩 함수를 편하게 쓰기 위해 만듬 Lambda 매개변수 : 반환값 변수에 저장해 재사용이 가능한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함수처럼 매개변수의 인자로 전달함 함수 매개변수에 직접 인자로 전달함 def calc(x,y,operator_func): return operator_func(x,y) #매개..
가변형 매개변수, 언팩 연산자 연팩 연산자를 사용하는 튜플 형식의 가변 매개변수 error문구: total+=val TypeError: unsupported operand type(s) for +: 'int' and 'tuple' .res라는 변수에 따로 1,2,3,4,5를 담아 넣는 것과 직접 1,2,3을 넣는 것의 차이가 무엇일까? 디버깅을 해보면 res로 넣는 1번의 경우에 params에 (1,2,3,4,5) 가 통째로 하나의 튜플로 들어가고... 튜플의 튜플로 들어가는 것 같다. 그냥 바로 1,2,3을 넣는 경우에는 1,2,3 이 인자로 전달되어 각각이 하나의 (인덱스 넘버-int)로 갖고 있는 하나의 튜플로 들어가는 것 같고. 언패킹에 대해 조금 더 검색해 봄 차후 한번 더 읽어두자. https..
window 환경에서 Cmder를 활용하여 conda activate base 를 쓸 때, 처음에 conda activate를 사용하려니 이런 에러가 떴다. CommandNotFoundError: Your shell has not been properly configured to use 'conda activate'. If using 'conda activate' from a batch script, change your invocation to 'CALL conda.bat activate'. To initialize your shell, run $ conda init Currently supported shells are: - bash - cmd.exe - fish - tcsh - xonsh - zsh..
GitLab 에서 GitHub로 Repository를 이전했다. 나중에 또 필요할 때를 대비해서 일단 순서부터 기록 겸... Repository A를 Repository B로 옮기는 순서 [출처] git bash를 연다 A를 clone받기 $ git clone --bare [A주소] 폴더 이동하고 B에 푸시하기 $ cd [A 폴더] $ git push --mirror [B주소] 임시 로컬 저장소A를 지우기 $ cd .. $ rm -rf [A 폴더] 옮기다 보니 ... git clone의 bare/mirror 옵션에 대해 궁금한 게 생겼다. Bare? 그런데 bare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bare의 단어 뜻은 알지만 여기선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 걸까. git 공식 문서에서는 bare에 대해 단독..
J융
Develop day by day